[통합과학] 1 원소와 원자

통합과학 1단원에서 우주 초기의 원소 생성에 대해서 공부하는데, 중학교에서 공부했던 원소와 원자의 개념을 복습하는 내용입니다.

제가 지금 감기에 걸려 목소리가 많이 잠겼습니다.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새 프로젝트 시작 - 통합과학 속의 숨은 이야기


안녕하세요. 티스토리에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올해 새로운 프로젝트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위한 통합과학 강의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이미 2주가 지났는데 이제야 영상을 제작을 시작하고 올리게 되었습니다. 새 학기가 시작되고 난 후 이번 학기의 수업이 너무 많다보니(정규 수업만 주당 24시간... ㅠㅠ) 영상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더 이상 늦어지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밤에라도 영상을 제작해서 올리려고 합니다.  

이번 영상은 새롭게 시작하는 '통합과학 속의 숨은 이야기'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진행 방향, 그리고 새롭게 시작된 고등학교 통합과학에서 공부하게될 내용을 개략적으로 소개합니다.

이 영상은 유튜브와 카카오TV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많이 방문해 주시고 구독 부탁드리며, 많은 성원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통합과학 영상 내용이나 각종 자료들은 새길랩 사이트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본격적인 학습 내용 영상으로 곧 만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엑셀을 이용한 트랙커 데이터 분석

과학이야기/물리학 2017. 11. 26. 15:55

지난 주 개인적으로 좋지 않은 소식이 들려오고, 차 사고가 나고, 등등등...

별로 좋지 않은 1주일을 보내며 영상 제작하는데 손이 잘 가지 않았습니다.

좀 늦었지만 이 시리즈 영상 계속 제작해서 올리겠습니다. 이 시리즈는 총 5편으로 제작할 예정입니다. 이 영상은 4번째 영상입니다.

이 영상은 엑셀을 이용하여 트랙커에서 얻은 운동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영상은 ‘강원도교육과학정보원’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트랙커를 이용한 포물선 운동 분석1

과학이야기/물리학 2017. 11. 15. 23:10


이 영상에는 트랙커를 이용하여 포물선운동을 하는 물체의 운동을 분석하는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 영상은 ‘강원도교육과학정보원’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새길]

설정

트랙백

댓글

트랙커 다운로드 및 설치

과학이야기/물리학 2017. 11. 14. 13:55


이 영상은 물체의 운동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인 트랙커를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는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화면을 보실 때는 전체화면에서 [설정] – [품질]에서 480p이상에서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 영상은 ‘강원도교육과학정보원’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엑셀을 이용한 등가속도 운동의 분석

과학이야기/물리학 2017. 11. 14. 10:19


엑셀을 이용하여 등가속도 운동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영상입니다.

화면을 보실 때는 전체화면에서 [설정] – [품질]에서 480p이상에서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 자료는 ‘강원도교육과학정보원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mp4동영상에서 다중섬광사진 뽑아내기

과학이야기/물리학 2016. 11. 11. 21:52

안녕하세요. 새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에서 얻은 mp4동영상에서 사진들을 추출해서 다중섬광 사진과 같은 효과를 얻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겠습니다. 이 방법은 강원도내 중고등학교 과학선생님들의 실험연수와 지난 10월 인천, 강원지역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한 2015 개정교육과정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서 소개한 자료입니다. 다음 사진이 오늘 글의 최종 결과물입니다.



이 사진은 지난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양학선 선수의 영상을 유튜브에서 얻어 움직이는 모습을 한 장의 사진으로 합성하여 다중섬광사진과 같은 효과를 얻은 것입니다. 이런 사진을 얻기 위해 제가 사용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정 1 : [Mp4toAVI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p4파일을 압축되지 않은 AVI파일로 변환]

   ↓

과정 2 : [VirtualDub 을 이용하여 AVI파일에서 각 프레임을 jpg사진으로 추출]

   ↓

과정 3 : [스타트레일스를 이용하여사진 합성]


이 작업에 필요한 프로그램중 Mp4toAvi 프로그램은 이 글의 아래 글에 올려져 있으며, VirtualDub와  StarTrails는 다음 사이트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 VirtualDub Download : http://virtualdub.sourceforge.net
  • StarTrails Download :  http://startrails.de

이 글에서 사용한 동영상 파일은 이 영상입니다. 수단 방법을 가리지 마시고 다운 받으셔서 연습해 보세요.




과정 1 : [Mp4toAVI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p4파일을 압축되지 않은 AVI파일로 변환]


Mp4toAvi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 화면에서 왼쪽 위의 [Add MP4]버튼을 눌러 변환하고자 하는 mp4파일을 선택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고나서 가운데 아래의 [Advanced...]버튼을 눌러 주세요.


팝업창이 나타나면 해상도를 조절해 주시고, [Encoder]에서 rawviode를 꼭 선택해 주세요. 이것을 선택해 주셔야 압축되지 않은 AVI동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세팅을 하셨으면 [OK]버튼을 눌러 세팅을 저장하세요.



[Output]경로를 확인하시고 이제 변환을 하기 위해 오른쪽 아래의 순환형 화살표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압축되지 않은 AVI파일이 완성됩니다.




과정 2 : [VirtualDub 을 이용하여 AVI파일에서 각 프레임을 jpg사진으로 추출]


이제 동영상에서 각 프레임을 사진 파일로 변환하겠습니다. 다른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들에서도 사진을 뽑아내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만 이곳에서 프리웨어로 사용할 수있는 VirtualDub 을 이용하여 사진을 추출하겠습니다.



동영상을 불러오기 위해 VirtualDub을 실행 시킨 후 [File]메뉴를 눌러 {Open video file]을 선택하여 앞에서 저장한  AVI파일을 불러오세요. 불러올 때 warning메세지가 뜨는데 무시하셔도 괜찮습니다.



동영상을 불러온 후 슬라이드 바를 움직여 동영상에 제대로 올라왔는지 확인해 보시고, {File]-[Export]-[Image sequence...]를 선택하여 이미지를 추출할 준비를 합니다.



저장 옵션에서 아래쪽 Output format 을 JPG로 선택하시고, 파일을 이름을 적으시고, 확장자를 .jpeg에서 .jpg로 꼭 변환을 해 주세요. 다음에 쓸 프로그램인 StarTrails에서는 jpeg확장자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세팅이 완료되면 OK버튼을 눌러 변환을 해 주세요. 그러면 파일이름에 프레임별로 숫자가 붙은 jpg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과정 3 : [스타트레일스를 이용하여사진 합성]


이제 사진을 합성해 보겠습니다.

StarTrails는 원래 낱장으로 찍은 별 사진들을 한 장의 일주사진이나 동영상을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프레임별 사진에서 마치 다중섬광사진과 같은 효과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신 후 [과정2]에서 추출한 jpg이미지들을 모두 불러 옵니다.



모든 프레임을 합성하면 너무 조밀한 움직임이 나타나므로 이 경우에 4장당 1장의 사진만을 선택하시고, [Build] - [Startrails] 버튼을 눌러 사진을 합성하시면 위와 같은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완성한 사진을 저장하시면 다중섬광사진과 같은 효과를 내는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이 글의 내용을 다른 곳에 옮기시거나 활용하실 때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새길이었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오늘 수업 시간에 찍은 사진 - 빛의 합성

과학이야기/물리학 2016. 4. 19. 20:40

오늘 1학년 수업 시간에 사진 2장을 찍었습니다.

교실 모니터를 접사로 촬영했습니다. 흰색으로 보이는 부분과 노란색으로 보이는 부분을 찍은 것입니다.

 

 

 

우리 눈에는 모니터에서 흰색과 노란색으로 보이지만 가까이서 촬영해서 확대시켜보면 흰색이 흰색이 아니고, 노란색이 노란색이 아니랍니다. 빨강 + 초록 + 파랑 빛이 합쳐져서 흰색으로 보이고, 빨강 + 초록 빛이 합쳐져서 노랑으로 보이는 것이지요.

 

위의 사진을 한 번 확대시켜 보세요...^^

 

설정

트랙백

댓글

정12면체 전등갓 만들기-레이저커팅

아이들과 작년에 아두이노 반을 운영하면서 프로토타입만 만들다 보니 전시를 해도 영 볼품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올해는 아두이노 응용 프로토타입을 만들 때 조금이라도 예쁘게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LED를 다루면서 전등갓을 만들려고 인터넷을 뒤지다가 정12면체 형태의 전등갓을 찾았습니다. 제가 만들어 본 전등갓의 행태는 다음 사이트에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PxwM-oJF3U


위의 유튜브 영상에서 도안을 다운받아 가위로 잘라 만들어 보았는데 가위로 자르는데만 1시간이 넘게 걸려서 레이저 커터로 작업을 하기로 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레이저 커터로 도안을 커팅했습니다. A4한쪽에 6개씩 5장 총 30개의 조각을 제작했습니다. 




동영상에서 제시한 대로 순서대로 맞추면 위와 같이 정1면체 형태의 전등갓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전등갓 안에 전구 또는 LED를 넣으면 예쁜 전등이 될 것 같습니다. 실제 제작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등을 만들 수 있다고 하네요. 내일 학교에 가서 테스트를 해봐야 겠습니다.



자세한 제작 방법은 위의 링크 참조해 주세요.


[새길]

설정

트랙백

댓글

Arduino 003 - 아두이노 드라이버가 잘 설치되지 않을 때

과학이야기/물리학 2015. 10. 11. 10:27

Arduino 003-아두이노 드라이버가 잘 설치되지 않을 때

제가 교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두이노 키트는 스파크펀(http://www.sparkfun.com)에서 판매하고 있는 Inventor’s Kit입니다. Inventor’s Kit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정품 아두이노 UNO가 들어 있는 키트이고, 또 하나는 스파크펀에서 제작해서 판매하는 호환기종인 RedBoard가 포함된 키트입니다.


국내에서는 아트로봇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http://www.artrobot.co.kr


지난 목요일(2015.10.08.) 밤에 양구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아이들과 아두이노를 가지고 놀았습니다. 평상시에는 우리 학교 아이들과 기숙사 컴퓨터실에서 가지고 노는데 이번에는 컴퓨터실을 이용했더니 우리가 사용하는 아두이노 키트의 드라이버가 잘 설치되지 않더군요. 정품 아두이노를 사용하는 키트는 정상적으로 잘 설치가 되는데 아두이노 호환기종인 RedBoard는 잘 설치가 되지 않았습니다.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하려면 FTDI USB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그런데 아두이노 IDE에 포함된 FTDI USB 드라이버의 버전은 2.08.14였습니다. 최신의 FTDI USB드라이버를 설치하려면 다음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Virtual COM Port Driver를 찾아 설치해야 합니다.


http://www.ftdichip.com

이곳에 들어가셔서 [Drivers]-[VCP Drivers]를 찾아 들어가시면 됩니다. 아래는 바로가기 링크입니다.

http://www.ftdichip.com/Drivers/VCP.htm

이 사이트에서 아래로 조금 내려가면 Currently Supported VCP Drivers라는 표가 나오고 그곳에서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으셔서 설치하시면 아마도 설치가 되고 아두이노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글을 쓰고 있는 현재 최신 버전은 2.12.06입니다. Windows용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하려고 할 때는 Comments의 [setup executable]을 선택하여 실행하시면 될 것입니다.


이상은 아두이노를 설치하면서 USB드라이버가 잘 설치되지 않을 때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새길]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