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을 기다리며..3 (산딸기)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4. 3. 10. 13:24

지난 주 엄청난 눈이 내렸습니다. 그 눈으로 인해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았습니다. 고속도로 안에서 하루종일 갇쳐서 물 한모금, 빵 한 조각 먹지 못한 분들에게, 그리고 비닐하우스가 망가져 농사를 모두 망친 분들에게 위로의 말을 전합니다.

언제 눈이 내렸냐는 듯이 눈이 녹아내리고 있습니다. 이곳 정선 고한도 약 40cm정도의 눈이 쌓였었는데 언제 그랬냐는 듯 다 녹아 내리고 있습니다. 이제 정말 봄이 오려나 봅니다.

지난 봄에 학교 아이들과야생화를 찾아 다닐 때 길가에 무수히 많은 산딸기가 있었습니다. 한자리에 서서 계속 따먹어도 다 따먹을 수 없을 정도로 많았지요. 이번 봄에도 산딸기는 또 나오겠지요. 이번 봄에는 딸아이와 함께 산딸기를 찾아 나서보아야 겠습니다. 딸아이(하늘)가 산딸기를 무척 좋아하거든요...

오늘도 좋은 하루들 되십시오. [새길]

'과학이야기 > 생명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할 놈의 꽃(?)... 개망초  (1) 2004.03.16
봄을 기다리며..4(괭이밥)  (1) 2004.03.11
초 저가형 현미경 촬영용 카메라 만들기  (4) 2004.03.09
정소세포  (0) 2004.03.08
봄을 기다리며..2(앵두꽃)  (1) 2004.02.13

설정

트랙백

댓글

초 저가형 현미경 촬영용 카메라 만들기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4. 3. 9. 00:07

여기에서 소개하는 장치는 2002년도 가을쯤에 만들었고, 2003년도 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에서 주관하는 실험기구개발대회에 제가 출품했던 작품입니다. 혹시라도 이 작품을 다른 대회에 내보내셔서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없으시기 바랍니다. 이 작품은 이미 떨어진 작품이어서 제가 아는 과학선생님들께 모두 공개하고 이곳에도 만드는 방법을 공개합니다. 과학선생님들께서 학습자료를 제작하시거나 하실 때 싼 가격에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분들께 소개하실 때는 제가 만들었다는 말씀만 해주세요. 절대로 상업적으로 사용하지는 마세요...^_^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C카메라를 준비하세요. 30만 화소급이면 됩니다. 물론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 있어야 겠지요. 싼것은 지난 1월 기준으로 25,000원이면 삽니다. 그리고 이 카메라는 PC카메라로 쓰신다는 생각은 버리고 시작하세요...카메라를 분해할 거니까요. 분해하는데는 조그만 드라이버가 필요한데 드라이버가 없으시면 가까운 안경점에 가셔서 분해해 달라고 부탁해 보세요. 정말 싸가지(?)없는 주인이 아니라면 분해해 줄 것입니다. (참고로 전 그런 싸가지(?) 없는 안경점 주인을 보았습니다. 드라이버가 비싼거라 망가질까봐 못한다나요? 다음날아내 안경 마추는데 보란듯이 구경만 하고 나와버렸죠... 다른데로 간다고 하면서요...그집 주인은 20만원 날렸죠...드라이버 하나 때문에...^_^)

그리고 현미경 대물렌즈에서 렌즈를 제거하고 경통에 끼우는 부분만 뽑아내십시오.

준비가 다 되었으면 카메라의 껍데기를 벗기셔서 알몸만 나오게 하세요. 그리고 카메라의 렌즈부분도 제거해 주세요... 그러면 렌즈를 제거한 부분에 CMOS소자가 보일것입니다.


그리고 접안렌즈의 끼우는 부분을 아래 사진처럼CMOS소자가 있는 부분에 정확히 가운데를 맞추어서부착하세요. 아차!!! 준비물이 하나 빠졌군요... 부착시키려면 글루건이나 강력접착제 쓰세요... 잘 붙습니다.


그러면 모두 만들었습니다. 현미경에 끼우고 컴퓨터의 USB포트에 카메라를 연결하면 컴퓨터로 세포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메라에 따라오는 소프트웨어로는 거의 최대 640*480까지의 사진을 찍거나 320*240 사이즈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한번 시도해 보세요. 놀라실겁니다. (이 장치를 본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놀라시더군요...)

원리는 간단합니다. 카메라의 렌즈를 제거했는데, 그 렌즈를 현미경의 대물렌즈로 대신하는 것 뿐입니다. 저는 이 작품의 힌트를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별사진 촬영에서 직초점 촬영법에서 얻었습니다. 직초점 촬영법은 카메라의 렌즈를 천체망원경으로 대신하는 것이거든요...

이글을 보시는 분이 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시는 분이시라면 교실의 대형 화면을 통해서 생생한 세포의 사진을 아이들에게 보여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의 정소세포 사진도 이 장치를 이용해서 찍었습니다. 그리고 대회에 나갈 때 찍었던 사진 몇개 추가로 올려봅니다.


현미경 대물마이크로미터를촬영한 것입니다. 작은 눈금 하나가 10마이크로미터입니다.(대물렌즈 10X)


현미경 대물 마이크로미터를 촬영한 것입니다. (대물렌즈 40X)


현미경 대물 마이크로미터를 촬영한 것입니다. (대물렌즈 100X)


양파 안쪽 껍질 세포 사진입니다. (대물렌즈 10X)


소나무 줄기세포입니다.(대물렌즈 10X)


정자의 운동 동영상 캡쳐입니다.

그 이외에도 많은 사진이 있지만 생략하고, 한번 만들어 보세요. 저렴한 가격에 현미경 촬영장치를 가지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정도의 촬영장치도 기존 제품으로 나와 있는 것이 상당한 가격입니다. 아마 백만원정도는 주어야 할겁니다. 백만원짜리를 이만오천원에 장만하실 수 있는 것이니 얼마나 좋나요... 이런작품이 떨어지다니... 쩝...

한번 만들어보시고 평가해 주세요. 전 이것을 가지고 수업시간에도 잘 쓰고 있습니다.

[강원도 정선에서 새길]

'과학이야기 > 생명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을 기다리며..4(괭이밥)  (1) 2004.03.11
봄을 기다리며..3 (산딸기)  (1) 2004.03.10
정소세포  (0) 2004.03.08
봄을 기다리며..2(앵두꽃)  (1) 2004.02.13
봄을 기다리며..(민들레)  (1) 2004.02.12

설정

트랙백

댓글

정소세포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4. 3. 8. 14:35


우리 눈에 보이는 것만이 자연은 아니겠지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었으면 합니다. 아름다운 세포의 세계도 여러분들께 소개시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제작년 가을쯤에 만든 일반 단안 현미경용 촬영장치를 이용해 촬영한 이미지 입니다. 위의 사진은 정소세포의 사진입니다. 무슨 동물의 정소세포인지는 모르겠네요. 학교에 있는 영구프레파라트를 이용하여 촬영했습니다. 다른 세포의 사진도 촬영해 보았는데 프레파라트의 상태가 별로 좋지 않아서 우선은 이 사진을 올려봅니다. 다른 사진들로 최대한 잘 찍어서 올리고,곧 촬영장치 만드는 법(약 25000원이면 만들 수 있어요.)도 함께 이곳에 공개하겠습니다.

정소는 동물의수컷 배우자를 만드는 기관이지요. 정소는 암컷의 난소와 마찬가지로 생식선이며 성숙한 정소는 복잡하게 접혀진 1개 이상의세정관과 그 사이를 메우는 간세포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군요. 세정관 내면은 생식상피로 덮여 있고, 관강 안에는 생식상피에서 유래되는 정조세포, 분열중인 정모세포, 정자변태중인 정세포, 완성된 정자 등이 다수 들어 있습니다.[참조 : 두산동아대백과사전]

제가 생물 전공이 아니다보니 자세한 설명은 드리기 어렵습니다. 혹시 자세히 아시는 분은 코멘트에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다음에는 더 멋진 사진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새길]

설정

트랙백

댓글

봄을 기다리며..2(앵두꽃)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4. 2. 13. 11:52

우리 학교 뒷편에 있는 앵두나무입니다. 지난 봄에 꽃이 피었을 때 찍었지요.

학교 뒷편에 한 그루, 그리고교사들 관사 옆에 또 한 그루의 앵두나무가 있습니다.

봄이 되면 예쁜 꽃이 피고, 꽃이 지고나면 빨간 앵두가 열리는데 학교 뒷편의 앵두는 아이들이 쉬는 시간만 되면 모여서 따먹고, 관사에 있는 앵두는 우리 하늘이가 와서 따먹었지요. 새콤하고 맛있는 앵두가 먹고싶어지네요.

이제 곧 앵두꽃이 피겠죠?

 

설정

트랙백

댓글

봄을 기다리며..(민들레)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4. 2. 12. 21:55

이제 2월도 중반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긴 겨울방학도 이제 끝나가고 있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 겨울방학동안에 한 달 넘게 교육을 받았습니다. 어떻게 시간이 지나갔는지 모르게 지나갔지요. 어느덧 방학이 다 끝나고 다음주에 개학을 해서 화요일에 졸업식을 마치면 미탄에서의 저의 농사(?)는 다 끝이 나는 듯 하네요. 저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을 가끔 농사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농사라는 것이 단순히 씨를 뿌려주었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잖아요? 가꾸고 돌보아주고 지켜주어야 식물들이 잘 크잖아요. 아이들도 마찮가지인듯 합니다. 가꾸고, 돌보아주고, 지켜주어야 하는 것이...

언제 다시 추위가 올리 모르지만벌써 봄이 온 듯 합니다. 따뜻한 봄날에 푸릇 푸릇 돗아나는 풀과 그 사이에 피어나는 예쁜 꽃을 빨리 보고 싶네요.

위의 사진들은 작년 봄, 어느 일요일에 딸아이(하늘)와 놀다가 우리 학교(평창 미탄중학교)의 화단에서 회양목 사이에 피어난 민들레를 찍은 것입니다. 이제 민들레도 곧 볼 수 있겠지요? 그러면 저도 새로운 농사를 시작해야겠네요. 농사 준비도 미리 한다고 하는데 잘 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설정

트랙백

댓글

너무나 오랜만에 오는 내 공간(패랭이꽃)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4. 2. 9. 14:48

너무도 오랜만에 내 공간에 와 봅니다.

내 공간이면서도 관리를 너무 소홀히 한듯 합니다.

핑계를 댈 필요도 없겠지요? 제가 게을러서 그런걸...

앞으로는 더욱 열심히 만드는 제 공간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사진은 패랭이꽃입니다. 예쁘지요?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의 창리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다리실님의 패랭이꽃 이야기 ---> http://blog.paran.com/darisil/101235

설정

트랙백

댓글

예쁜 야생화를 감상하세요...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3. 6. 23. 16:21

우리 산하에 이런 꽃들이 숨어 있습니다.

얼마나 아름다운지는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 직접 찾았을 때 느낄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가까운 산과 들에 나가보세요.

정말로 아름다운 꽃들이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촬영일 : 2003.06.22

촬영장소 :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회동리

참나리꽃

나리 종류인 듯 한데 아직 이름을 모르겠네요... 이름을 알아내면 글 수정하겠습니다.

이 꽃은 회동리 가는 중간에 새끼소(미탄아이들이 주로 수영하는 곳)라고 하는 작은 웅덩이 옆에서 아이들 수영할 때 찍은 사진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6월 22일 야생화 탐사를 다녀왔습니다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3. 6. 23. 10:31

6월 22일에 야생화 탐사를 다녀왔습니다.

우리 학교 과학동아리 ''''별볼일 있는 아이들''''과 함께 2주에 한번씩 우리 지역을 탐사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지난 6월 7일과 8일에는 평창군 미탄면 기화리와 마하리를 다녀왔고, 어제 2차 탐사로 회동리를 다녀왔습니다.

이번 회동리 탐사에서 찾은 예쁜 꽃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위의 사진은 참나리입니다. 예쁜 참나리가 산 속에 숨어 살고 있더군요...

위의 사진은 가시엉겅퀴입니다.

예쁘죠?

우리 주변에는 예쁜 꽃들이 많이 있습니다.

주변을 한 번 둘러 보세요...

조그마하지만 예쁜 꽃들을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 사진도 정리되는데로 바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새길이 찾아가는 작은 세상입니다.

과학이야기/생명과학 2003. 6. 21. 09:56

안녕하세요. 새길이 찾아가는 작은 세상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에서는 새길의 관심사인 자연, 과학,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호응 바랍니다.

먼저 자연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아름다운 야생화와 함께 즐거운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Happy 7000 강원도 평창의 조그만 산골의 중학교 과학교사입니다.

학생들과 매주 꽃을 찾아 돌아다니고, 밤이면 별을 찾아 돌아다니고 있지요...

아름다운 세상을 우리 함께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

http://www.saegil.pe.kr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