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노트-7] 인덕턴스(inductance)

과학이야기/물리학 2014. 10. 1. 00:42

어떤 회로를 지나는 자기력 선속(자속, magnetic flux)는 그 회로의 전류와 가까이 있는 다른 회로의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위의 회로에서 P점에서의 자속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점에서의 자속 = 에 의한 자속 + 에 의한 자속

따라서 회로 2를 지나는 자속을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수 를 회로 2의 자체 인덕턴스(self inductance)라고 하고, 이 값은 회로2의 기하학적 모양에 관계된다. 또 를 두 회로의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라고 하며 두 회로의 기하학적인 모양에 관계된다. 특히 두 회로가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전류 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회로 2를 지나는 자속은 작아지며 상호인덕턴스도 작아진다.

이와 유사하게 회로 1을 지나는 자속 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자체인덕턴스 은 회로 1의 기하학적인 모양에만 의존하고 상호인덕턴스 은 두 회로의 기하학적인 모양에 따른다. 명백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이들 두 상호인덕턴스는 같다고 볼 수있다. 즉, 으로 쓸 수 있다.

회로들이 고정되어 있고 전류만 변화하면 회로에 유도된 기전력은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인덕턴스의 SI단위는 헨리(henry, H)를 사용한다.

인덕턴스는 항상 자유공간에서의 투자율(permeability of free space) 와 어떤 특정 길이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수 의 단위는 H/m로 나타낼 수 있다.

원리적으로 자체인덕턴스와 상호인덕턴스는 어느 주어진 회로와 배치에 대해서는 간단히 계산된다. 예를 들어 을 계산하려면 어떤 전류 을 결정하고 회로에 둘러싸인 어떤 면 위의 각 점에서의 자기장을 비오-사바르(Biot-Savart)의 법칙으로부터 계산하면 된다. 이 자기장은 물론 전류 에 비례할 것이다. 따라서 이 면적에 걸쳐 적분하여 이 자기장의 자속을 계산하다. 에 비례하므로 자속도 에 비례할 것이다. 이때 비례상수 은 자체인덕턴스이다. 마찬가지로 회로 1에 흐르는 어떤 전류 을 결정하고, 회로 2에 둘러싸인 면 위의 각 점에서의 자기장을 계산한 다음, 이 자기장으로부터 그 회로를 지나는 자속을 계산하면 상호인덕턴스를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오-사바르의 법칙으로부터 자기장을 계산하고 임의의 면에 걸쳐 이 자기장을 적분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몇 가지 간단한 기하학적 모양인 경우 이외에 자체인덕턴스 및 상호인덕턴스를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근사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두 가지 예를 보도록 하자.


솔레노이드의 자체 인덕턴스

길이가 이고, 번 감은 솔레노이드에 전류 가 흐를 때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은 거의 균일하며 이 자기장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은 단위길이 당 감은 횟수이다. 이 솔레노이드에서 한 고리의 단면적을 라고 하면 이 단멱적을 통과하는 자기력 선속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의 자체인덕턴스 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의 자체인덕턴스는 단위 길이 당 감은 수의 제곱()에 비례하고 솔레노이드의 부피()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긴 도선과 직사각형의 환형 도선 사이의 상호인덕턴스

위의 그림에서 왼쪽에 있는 도선은 매우 길어 이 회로의 나머지 부분은 직사각형의 환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자속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직사각형의 환선을 지나는 자속을 계산하기 위해 적분을 해야 한다. 직선 도선에서 만큼 떨어져 있는 직사각형 환형 도선 안의 미소한 면적 를 지나는 미소한 자속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총 자속은 에서 까지 적분하면 구할 수 있다.

이 긴 도선에 흐르는 전류 에 의해 직사각형 환선을 지나는 자속은 예상할 수 있듯이 전류 에 비례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비례상수인 상호인덕턴스 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새길]

[ 이 글이 마음에 드시면 공감 한번 눌러 주세요...^^ ]

설정

트랙백

댓글

등전위면 그리기 계산

과학이야기/물리학 2013. 12. 3. 13:12

역시 아래와 마찬가지로 전하 2개가 있을 때 등전위선을 그리기 위한 기초계산입니다. 프로세싱으로 수치계산에 의해 등전위선을 그리기 위해 계산한 내용입니다. 나중에 그림이 완성되면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새길]

 

 

 


[이 글이 마음에 드시면 아래 손가락 한번 눌러 주세요...^^]


'과학이야기 > 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플러의 제3법칙은 어떻게 나왔을까?  (0) 2013.12.29
벤포드 법칙(Benford's law)  (0) 2013.12.24
전기장 그리기 계산  (0) 2013.12.03
프랙탈 나무  (0) 2013.11.27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0) 2013.11.22

설정

트랙백

댓글

전기장 그리기 계산

과학이야기/물리학 2013. 12. 3. 13:07

전하 2개가 있을 때 전기장을 그리기 위해 기초 계산을 해 놓은 자료를 올려 봅니다. 지난 8월 20일에 계산을 했네요. 다음에 수치 계산을 통해 프로세싱으로 전기장을 그리기 위해 계산한 내용을 올려 봅니다. 이해가 잘 안되셔도 어쩔 수 없네요. 나중에 전기장을 그리면 그림으로 이해해 주세요. 이런 계산을 통해서 뭔가를 그려내는구나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새길]

 

 

 

 

이 글이 마음에 드시면 아래 손가락 한번 꾹 눌러 주세요...^_^

 

'과학이야기 > 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포드 법칙(Benford's law)  (0) 2013.12.24
등전위면 그리기 계산  (0) 2013.12.03
프랙탈 나무  (0) 2013.11.27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0) 2013.11.22
회전된 좌표계에서 본 벡터의 표현  (0) 2013.05.07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