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4.08.23 [거꾸로 교실-물리I] II-1-3. 전류에 의한 자기장
- 2011.11.05 랜케이블을 이용한 전류에 의한 자기장 실험장치 2
글
[거꾸로 교실-물리I] II-1-3. 전류에 의한 자기장
거꾸로 교실 물리 I을 시작하겠습니다.
어제 자꾸 노이즈로 인해 녹음에 실패를 했습니다.
아직도 완벽한 상태는 아니지만 영상 녹화 및 녹음이 끝나서 부족하지만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약간의 노이즈는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랜만에 동영상을 제작하다보니 말을 실수하는 부분도 있고(자기력선을 전기력선으로 등등...), 가끔 버벅데기도 하고요. 다음에 제작할 때는 좀더 신중하게 잘 제작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올리는 파일은 19분이 조금 넘는 분량입니다. 15분 이내로 제작하기로 했는데 조금 오버가 되었습니다.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올려져 있는 동영상은 사실 이미 공부한 부분이기 때문에 수업시간에 잘 들었던 학생들에게는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공부한 부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은 수업시간에 잘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한 배려입니다. 그 점을 이해해 주시고, 수업시간이 되기 전에 꼭 동영상을 보고 수업에 들어와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수업시간에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과 관련하여 여러분들에게 숙제를 제시하겠습니다. 그 숙제들을 여러분들끼리 해결해 주시고, 저는 여러분들이 숙제를 하는 것을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이 잘 따라오고 잘 이끌어 나가는 수업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저에게 수업을 듣지 않는 학생들을 위한 안내를 잠깐 드리면, 본 영상은 '천재교육'에서 출판된 물리I교과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리고 중간에 삽입된 영상은 유튜브에 한성은님이 업로드해주신 지하철 실험영상을 짧게 편집했음을 알려드립니다. 동영상의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하철 나침반 실험 : http://www.youtube.com/watch?v=wESMB03nofY
[새길]
'과학이야기 > 고등학교 물리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꾸로 교실-물리I] II-2-2 에너지띠 (1) | 2014.09.15 |
---|---|
[거꾸로 교실-물리I] II-2-1 빛의 흡수와 방출 (0) | 2014.09.12 |
[거꾸로 교실-물리I] II-1-5 전자기 유도 (0) | 2014.09.02 |
[거꾸로 교실-물리I] II-1-4 물질의 자성 (0) | 2014.08.27 |
거꾸로 교실 관련 긴급 공지 (0) | 2014.08.22 |
글
랜케이블을 이용한 전류에 의한 자기장 실험장치
이 자료는 교육적인 용도 이외에는 사용음 금합니다.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새로 실험장치 하나를 구상하고 테스트를 해 봤습니다.
랜 케이블을 이용한 전류에 의한 자기장 실험장치입니다.
테스트용이기 때문에 우선 브레드보드를 이용해서 실험을 해 봤습니다. 위 사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랜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콘넥터 두개를 설치하고 브레드보드에서 이 선들을 이었습니다. 연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연결한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측정하려면 큰 전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에나멜선 한가닥으로 실험할 때 에나멜선이 버틸 정도의 전류를 흐르게 해서 실험을 하면 자기장이 전혀 나타나지 않고, 전류를 많이 흘려주면 에나멜선이 타버립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이와같은 회로입니다.
랜케이블의 한가닥에 1A정도의 전류를 흘려주고 이를 8개의 내부 전선에 순환시켜주면 랜케이블 전체에는 8A의 전류가 흐르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제가 가지고 있던 3.4m랜 케이블의 저항을 측정해보니 약 5Ohm이 나오더군요. 5V의 전압을 걸어주면 약 1A의 전류가 흐르고 효과는 8A가 흐르는 것처럼 나타나는 것이지요.
이제 실험을 해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오른쪽이 북쪽으로 놓고 전류가 흐르기 전의 사진입니다.
전류가 흐르면 아래와 같이 나침반이 회전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나침반을 위에 올려 놓았을 때의 모습입니다.
이번에는 솔레노이드 실험입니다.
아크릴 관에 랜케이블을 감고 장치를 연결했습니다.
아래 사진은 나침반을 솔레노이드 밖에 놓고 전류가 흐르기 전의 나침반의 모습입니다.
아래 사진은 전류를 흘려주었을 때 나침반의 변화 모습입니다.
아래 사진은 나침반을 솔레노이드 내부에 넣을 때 입니다. 전류가 흐르기 전입니다.
아래는 전류가 흐르기 시작했을 때 모습입니다. 자기장이 확실하게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한 장치이지만 자기장의 생성되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철가루를 이용한 실험 등은 준비가 되는데로 올려 놓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새길]
'과학이야기 > 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툴소개] Fritzing (0) | 2012.04.23 |
---|---|
형광등 스펙트럼 (0) | 2011.12.27 |
캐논 EOS용 자동리모콘 만들기(2) (2) | 2011.09.27 |
캐논 EOS용 자동리모콘 만들기(1) (2) | 2011.09.24 |
우리가 우주의 중심일까? (2) | 2011.09.09 |